- 시험일정
구분 | 필기원서접수 (인터넷) |
필기시험 | 필기합격 (예정자) 발표 |
실기원서접수 | 실기시험 | 최종합격자 발표일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2018년 정기 기능사 1회 | 2018.01.05 ~ 2018.01.11 | 2018.01.20 ~ 2018.01.28 |
2018.02.02 | 2018.02.05 ~ 2018.02.08 | 2018.03.10~2018.03.25 | 2018.04.13 |
2018년 정기 기능사 2회 | 2018.03.16 ~ 2018.03.22 | 2018.03.31 ~ 2018.04.08 |
2018.04.13 | 2018.04.16 ~ 2018.04.19 | 2018.05.26~2018.06.08 | 2018.06.29 |
2018년 정기 기능사 3회 | 2018.06.22 ~ 2018.06.28 | 2018.07.07 ~ 2018.07.15 |
2018.07.20 | 2018.07.23 ~ 2018.07.26 | 2018.08.25~2018.09.07 | 2018.09.28 |
2018년 정기 기능사 4회 | 2018.08.17 ~ 2018.08.23 | 2018.09.08 ~ 2018.09.16 |
2018.09.21 | 2018.9.3 ~ 9.4 / 2018.10.22 ~ 10.25 | 2018.11.24~2018.12.07 | 2018.12.28 |
- 1. 원서접수시간은 원서접수 첫날 09:00부터 마지막 날 18:00까지 임.
- 2. 필기시험 합격예정자 및 최종합격자 발표시간은 해당 발표일 09:00임.
* 시험정보
- 시험수수료
– 필기 : 11900 원 / – 실기 : 56700 원
- 출제경향
보일러 시공 및 취급 실무
- 취득방법
① 시 행 처 : 한국산업인력공단
② 관련학과 : 실업계 고등학교 및 전문대학의 기계공학 또는 화학공학 관련학과
③ 시험과목
– 필기 : 보일러설비 및 구조, 보일러시공 및 취급, 안전관리 및 배관일반, 에너지이용 합리화관계 법규
– 실기 : 보일러 시공 작업(복합형)
④ 검정방법
– 필기 : 전과목혼합, 객관식 60문항 (60분)
– 실기 : 복합형[필답형(1시간)+배관작업(3시간 정도)]
⑤ 합격기준
– 필기 :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
– 실기 :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
*기본정보
- 개요
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배기가스로 인한 환경오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보일러설치, 시공, 운전 및 유지관리에 필요한 배관, 용접, 검사, 조작, 보수, 정비 등을 수행
- 변천과정
보일러시공기능사와 보일러취급기능사 종목이 2012년 1월 1일부로 통합(대통령령 제22507호, 2010.11.26)
‘74.10.16 대통령령 제7283호 |
‘91.10.31 대통령령 제13494호 |
‘98.05.09 대통령령 제15794호 |
‘10.12.13 고용노동부령 제11호 |
‘13.01.01 고용노동부령 제71호 |
현재 |
원동기시공 기능사2급 |
보일러시공 기능사2급 |
보일러시공 기능사 |
보일러기능사 |
에너지관리 기능사 |
에너지관리 기능사 |
|
보일러취급 기능사2급 |
보일러취급 기능사 |
|||
열관리 기능사2급 |
<폐 지> |
보일러취급 기능사 |
- 수행직무
건축물 및 산업용 보일러와 부대설비의 운영을 위하여 기기의 설치, 배관, 용접 등의 작업과 보일러 연료와 열을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관리, 운전, 정비 등의 업무를 수행
난방 및 급탕부하를 파악하고 보일러 용량을 계산할 수 있다
보일러 시공도면을 해독하고 작성할 수 있다
보일러 및 부대설비 설치 시 공구와 장비를 이용하여 시공할 수 있다
보일러 부속장치를 설치하고 정비할 수 있다
보일러 및 부속설비의 구조를 이해하고 운전 및 관리를 할 수 있다
보일러 및 부속설비의 고장을 파악하고 정비 및 취급할 수 있다
보일러 및 부속설비의 취급에 따른 안전조치를 취할 수 있다
- 진로 및 전방
ㅇ 입직 경로는 전문대학이나 공업계 고등학교 혹은 직업훈련기관에서 소방설비, 냉난방관리, 보일러시공, 산업설비 등을 전공하고 관련자격을 취득한 후에 건물설비관리업체 및 생산관리업체 등에 취업할 수 있다. 그리고 숙련기능공의 보조원으로 일하다가 현장경력이 쌓이면 기능공으로 활동할 수도 있다. 한편 대학에서 건축설비학과 등 건물 설비관련 분야를 전공하고 관련업체에 취업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현장의 경험을 쌓은 후 대규모 빌딩의 준간관리자가 되기도 한다.
ㅇ 일정한 경력이 쌓이면 건물전문 관리업체의 감독자 및 관리자로 일하거나 보일러분야, 공조냉동설비분야 등에서 창업을 할 수도 있다.
- 종목별 검정현황
종목명 | 연도 | 필기 | 실기 | 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응시 | 합격 | 합격률(%) | 응시 | 합격 | 합격률(%) | ||
소 계 | 44,397 | 16,824 | 37.9% | 21,444 | 11,169 | 52.1% | |
에너지관리기능사 | 2016 | 9,283 | 4,208 | 45.3% | 4,958 | 2,854 | 57.6% |
에너지관리기능사 | 2015 | 9,184 | 3,490 | 38% | 4,773 | 2,563 | 53.7% |
에너지관리기능사 | 2014 | 8,507 | 3,193 | 37.5% | 4,317 | 2,303 | 53.3% |
에너지관리기능사 | 2013 | 8,682 | 3,701 | 42.6% | 4,593 | 2,285 | 49.7% |
에너지관리기능사 | 2012 | 8,741 | 2,232 | 25.5% | 2,803 | 1,164 | 41.5%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