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시험일정
구분 | 접수기간 | 서류제출기간 | 시험일정 | 의견제시기간 | 최종정답 발표기간 |
합격자 발표기간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시험 일정이 없습니다.
|
*시험정보
-
- 취득방법
① 시 행 처 : 농림축산검역본부 (031-467-1924)
② 시험과목
– 수의내과학 100문제
– 예방수의학 100문제
– 임상수의학 130문제
– 수의법규, 축산학 20문제
③ 검정방법 – 필기
④ 합격기준 – 매과목 40퍼센트 이상, 전과목 평균 60퍼센트 이상
⑤ 응시자격 – 수의사법」(법률 제11957호, 2013.7.30.) 제9조 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
[다만, 「수의사법」(법률 제5953호, 1999.3.31) 부칙 제4항 및
「수의사법」(법률 제7546호, 2005.5.31) 부칙 제2항에 해당하는 자는 각각 동 규정을 적용]로서
같은 법 제5조의 규정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자
*기본정보
- 개요
가축 또한 인간과 거의 같은 해부학적, 생리적인 구조를 갖고 있어 질병에 걸리기도 하 고 질병을 전염시키기도 하는데, 가축을 진료하고 치료할 수 있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 술을 겸비한 자는 부족한 상태, 따라서 자격을 갖춘 전문가가 필요하게 됨에 따라 도 입 시행.
- 수행직무
가축의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며, 가축의 전염병을 예방하는 업무 수행. 가축의 번식장 애를 제거하고, 가축으로부터 인체 또는 인체로부터 가축으로 전염되는 질병의 예방 및 제거와 같은 공중위생 업무 수행.
- 실시기관명
농림축산검역본부
- 진로 및 전망
가축위생, 방역, 환경위생관련 공무원, 검사소, 검역소, 목장, 종축장, 식품제조업체, 육가공업체, 유업회사, 사료회사, 약품회사, 기타 식품위생관련업체 등에 진출할 수 있 으며 독자적으로 동물 병원을 개업할 수 있음. 식생활 변화에 따른 육류 및 축산물소비의 증가와 사육가축수의 증가, 애완동물의 보급 에 따라 수의사의 업무량이 증가하고 있으며, 업무범위도 가축의 진료, 수의공중보건, 식품위생관리, 종축개량 등으로 다양화, 전문화되고 있어서 수요인력이 계속적으로 증 가할 전망.